목록국립한글박물관 (2)
creamkj

훈민정음, 천년의 문자 계획 전시 구성 1부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2부 내 이를 딱하게 여겨 3부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4부 쉽게 익혀 5부 사람마다 6부 날로 씀에 7부 편안케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전시 장소 국립한글박물관 상설전시실(2층) 전시 소개 1443년 세종은 우리의 문자 ‘훈민정음’을 만들었습니다. 1446년에는 새 문자를 만든 목적과 원리를 밝힌 책 『훈민정음』을 만들었고, 『훈민정음』의 머리말에는 세종이 ‘훈민정음’을 통해 꿈꾼 새로운 세상이 설계돼 있습니다. 전시장은 『훈민정음』 머리말의 문장에 따라 7개의 공간으로 구성됐습니다.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중국의 한자를 빌려 말에 맞지 않는 글을 쓰던 시절 “내 이를 딱하게 여겨” 제 뜻을 글로 표현하지 못하는 백성을 딱하게 여겨..

세종대왕의 발자취를 따라가 보는 교과 체험학습 장소 추천 10월 9일은 '한글날'입니다. 한글날은 훈민정음, 곧 오늘의 한글을 창제해서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그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입니다. 긴 연휴에 잊고 지날 수 있는 한글날, 가족과 함께하는 체험학습을 통해 기념해 보면 어떨까요? 세종대왕의 발자취를 따라갈 수 있는 교과 체험학습 3곳을 소개해 드립니다. 광화문에서 만나는 [세종이야기] 서울 광화문에 가면 한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고, 존경하는 위인을 만날 수 있습니다. 바로 세종대왕인데요. 세종대왕 동상이 있는 서울 광화문 광장 지하에는 세종대왕을 만날 수 있는 생생한 역사 문화공간이 있답니다. 세종의 일생을 다룬 세종이야기가 바로 그곳입니다. 전시관으로 들어가는 입구는 총 3곳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