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목록용산 (1)
creamkj

훈민정음, 천년의 문자 계획 전시 구성 1부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2부 내 이를 딱하게 여겨 3부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4부 쉽게 익혀 5부 사람마다 6부 날로 씀에 7부 편안케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전시 장소 국립한글박물관 상설전시실(2층) 전시 소개 1443년 세종은 우리의 문자 ‘훈민정음’을 만들었습니다. 1446년에는 새 문자를 만든 목적과 원리를 밝힌 책 『훈민정음』을 만들었고, 『훈민정음』의 머리말에는 세종이 ‘훈민정음’을 통해 꿈꾼 새로운 세상이 설계돼 있습니다. 전시장은 『훈민정음』 머리말의 문장에 따라 7개의 공간으로 구성됐습니다.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중국의 한자를 빌려 말에 맞지 않는 글을 쓰던 시절 “내 이를 딱하게 여겨” 제 뜻을 글로 표현하지 못하는 백성을 딱하게 여겨..
여행지
2023. 6. 26. 1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