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amkj

《흥부전》에서 찾은 ‘아만보’의 즐거움 본문

일상다반사

《흥부전》에서 찾은 ‘아만보’의 즐거움

creamkj 2023. 12. 5. 09:48
반응형

흥부전에서 찾은 아만보의 즐거움

 

 

 

- 아는 만큼 보인다 -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 한 번쯤 들어보셨죠? 이 말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를 지은 유홍준 교수가 저서에 쓴 후로 더욱 유명해졌다고 합니다. 그는 문화유산을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그것에 대한 관심과 지식이 있어야 그 가치를 알 수 있다고 했는데요. 요즘은 줄여서 말하는 게 일반적이다 보니 아는 만큼 보인다를 아만보라고도 부른답니다.

 

유홍준 교수는 문화유산을 보며 이 명언을 남겼지만, 저는 학생들과 만날 때마다 아만보의 즐거움을 느낍니다. 수업할 책의 내용뿐 아니라 책이 써질 당시의 시대적 배경, 작가 등 주변 정보들을 학생들과 충분히 공유하기에 가능한 일인데요. 오늘은 5학년 학생들과 함께 읽은 흥부전으로 그 과정을 소개합니다.

 

흥부전은 착한 흥부는 복을 받고 욕심 많은 놀부는 벌을 받는다는 점에서 권선징악을 대표하는 고전 소설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이 작품을 읽고 권선징악만 논한다면 진수성찬을 앞에 두고 제대로 맛을 보지 못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조선 후기를 배경으로 한 흥부전에는 당시 사람들의 생활 모습과 사회 제도의 모순이 잘 드러나 있기 때문이죠.

 

이러한 부분을 짚어본다면 훨씬 더 깊이 있는 생각이 오고 갈 수 있을 거라고 판단했는데요. 함께 수업한 학생들은 작년에 저와 한국사 책을 읽은 경험이 있어 이 과정이 더욱 수월했습니다.

당시에는 돈만 있으면 양반이 될 수 있었기 때문에 양반의 수가 전체 인구의 70%까지 늘어나기도 했습니다. 학생들은 이 부분을 기억해 내며 다음 질문에도 대답을 이어갔습니다.

선뜻 답을 하는 학생도 있고, 두 눈을 깜빡이며 기억을 더듬는 학생도 있었습니다. 속도만 다를 뿐 그동안 쌓아 두었던 배경지식이 하나둘 기지개를 켜는 게 느껴졌습니다.

저는 학생들의 말에 부연 설명을 하며 상품이 되는 작물을 재배해 판매했다는 점도 짚어주었습니다. 그런데 왜 흥부는 가난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했을지 물었습니다

 

 

흥부전속에 등장하는 빈부 격차와 가난의 악순환은 비단 조선 후기에만 해당하는 건 아닙니다. 지금 시대에서도 얼마든지 나눠볼 수 있는 내용이었지요. 그래서 자식이 많으면 가난한 게 당연한 건지, 대신 매를 맞고 돈을 벌 수 있다면 어떤 문제가 생길지 관점을 확장해 보았습니다.

 

그 결과 모두가 잘 살 수 있도록 나라에서 도움을 주는 방법과 정의로운 사회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주고받은 이야기는 또 다른 수업의 배경지식이 되어 학생들의 입에서 흘러나올 게 분명해 보였습니다.

 

이 외에 학생들이 흥부전속 등장인물이 되어 현대에서 온 기자의 질문에 대답해 보는 가상 인터뷰를 해봤습니다. 인터뷰를 시작하자마자 학생들은 맡은 역할에 몰입해 실감 나게 목소리 연기를 펼쳤습니다. 눈으로 읽을 때는 맛보지 못한 생동감이 교실 곳곳에서 피어올랐습니다.

 

아만보의 즐거움은 여기서 끝이 아니었습니다. 수업의 대미를 장식하는 글쓰기 시간, 흥부전의 일부를 새롭게 써보자는 제안에 학생들은 크게 호응했습니다. 주제는 무엇으로 할지, 배경은 과거와 현재 중 언제가 좋을지, 사건은 어떻게 바꿀지 상상의 나래를 펼치기 시작했습니다. 그 표정과 몸짓은 마치 세상을 다 가진 것처럼 행복해 보였습니다.

 

키득키득, 까르르 웃음소리도 끊이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탄생했습니다. ‘세상에 나쁜 형은 없다’ ‘놀부의 개과천선’ ‘놀부의 문단속등 제목만 들어도 저절로 입꼬리가 올라갔습니다.

 

학생들은 조선 후기에 대한 배경 지식이 있었기 때문에 익숙했던 흥부와 놀부 이야기를 자신만의 새로운 시선으로 다채롭게 살펴보고, 거기에서 한발 더 나아가 요즘 사회에 투영해 보기까지 했습니다.

 

게다가 제일 중요한 건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신나게 글까지 썼다는 것입니다. 그 모습을 보며 저는 아만보야말로 책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쌓은 지식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들과 꾸준히 의견을 주고받는다면 배움의 즐거움도 누릴 수 있는 아만즐도 가능할 거라는 확신이 섰습니다. 아는 만큼 즐거워질 테니까요.

 

 

: 전주완산지부 문보라 독서지도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