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amkj

자원봉사론-실습 슈퍼비전의 구성 체계 본문

Study-ing

자원봉사론-실습 슈퍼비전의 구성 체계

creamkj 2025. 1. 20. 11:55
반응형

실습 슈퍼비전의 구성 체계

 

 

 

 

실습 슈퍼비전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슈퍼비전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정확히 이해할 뿐 아니라 슈퍼비전의 원칙을 세우고 그 원칙에 준하여 제공해야 한다.

 

실습 슈퍼비전의 구성은 실습생, 실습담당교수와 대학, 클라이언트, 실습지도자, 조직 등으로 구성되어 서로 유기적으로 기능해야 한다.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는 실습 슈퍼비전의 구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1) 실습생

실습생은 슈퍼비전을 받는 사람으로서 현장실습교육을 진행함에 있어 교육 및 지도받아야 할 내용을 제공한다. 실습생은 슈퍼비전을 통해 더욱 발전된 서비스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할 책임이 있으며, 이를 위해 슈퍼비전을 성실히 받아야 할 의무도 있다. 또한 슈퍼비전을 위해 진실한 보고 자료를 제공해야 하며, 소속기관의 슈퍼비전 구조에 맞춰 성실히 슈퍼비전을 받을 의무가 있다.

 

(2) 실습담당교수와 대학

실습생은 대학에 소속되어 있으면서 대학 교과목으로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수강하는 학생이다. 따라서 실습생의 지위는 실습기관의 실습생 또는 수련생으로도 정리되지만, 실습생의 기본 위치는 소속대학의 학생이다. 이는 실습생에 대한 일차적인 책임이 대학에 있으며, 실습생에 대한 교과목의 성적을 대학의 실습담당교수가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성적을 학교에서 확정한다고 해서 실습생의 현장실습내용에 관한 평가 일체가 학교의 실습담당교수에게 있는 것은 아니며, 현장에서의 실습 진행 전반에 관한 평가는 실습현장에서 실습 슈퍼비전을 담당했던 실습지도자에게 있으며, 이것은 철저하게 지켜져야 한다. 교육기관은 사회복지현장실습 교과목 운영을 위한 행정총괄 및 실시기관과의 연락을 지원하고, 실습세미나교수는 기관실습지도자와 협력하여 사회복지현장실습기관 선정 현황과 실시기관별 사회복지현장실습 운영계획서에 따라 실습이 운영되도록 교과목을 총괄 운영하고 최종 평가한다.

 

(3)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는 실습생이 실습 슈퍼비전을 받게 하는 이유의 중심에 있는 사람으로, 직접 서비스 기관에서 클라이언트 서비스 욕구를 가진 사람이며, 간접 서비스 기관에서의 클라이언트는 다른 기관, 단체, 정부 등이다.

 

(4) 실습지도자

실습지도자는 실습 슈퍼비전에서 실습생에게 실습 슈퍼비전을 제공하는 사람으로서, 슈퍼비전의 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습지도자는 다섯 가지 기본 행동인 말하고, 듣고, 읽고, 보고, 쓰는 것을 잘해야 한다. 이런 실습지도자는 사회복지사업 전달에 있어 관리자, 연결자, 멘토로서의 역할을 해낸다. 이렇게 실습지도자는 리더로서 실습생의 성장에 관심을 갖고 서비스와 행정, 정책을 조화롭게 정리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5) 조직

사회복지실천이 조직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듯이 사회복지실습 역시 조직 내에서 이루어진다. 실습 슈퍼비전 역시 조직 안에서 행정적으로 처리될 때 공식적인 실습지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직에서는 실습 슈퍼비전을 위해 정책, 규정, 내규, 지침 등을 마련해야 하며, 조직의 특성 및 목적, 비전 및 미션과 맥을 같이 하는 실습 슈퍼비전이 제공되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