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문화유산 (4)
creamkj

직지심체요절은 왜 프랑스에 있을까? 우리가 멋진 글을 썼다고 생각해 봐요.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읽는 책으로 만든다고 생각해 봅시다. 요즘에는 프린터가 있기 때문에 손쉽게 책을 만들 수 있어요. 그런데 프린터가 없던 먼 옛날에는 어떤 방법으로 책을 만들었을까요? 물론 하나하나 전부 손으로 쓸 수도 있지만, 그러면 시간도 너무 오래 걸리고 힘도 많이 들지요. 그래서 옛날 사람들은 활자라는 것을 이용했어요. 활자는 나무나 금속 기둥에 글자를 새긴 것으로, 먹을 묻혀 종이에 도장처럼 찍어낼 수 있답니다. 세계 최초의 금속 활자본, 직지심체요절 직지심체요절은 고려의 백운화상(경한)이라는 승려가 지은 책으로, 불교의 가르침을 담고 있어요. 백운화상이 죽은 뒤인 1377년, 그의 제자들이 흥덕사라는 절에서 이 책을..

한국 16번째 세계유산 확정되나…가야고분군 등재 ‘눈앞’ 고령 지산동‧함안 말이산 등 고분군 7곳 전문가 “가야 역사·문화 드러내는 보고” 고대문명 가야의 역사를 보여주는 고분군 7곳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될 전망이다. 17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이날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가야고분군’(Gaya Tumuli)의 등재 여부를 결정한다. ‘가야’는 어떤 문명일까. 가야는 하나의 고대국가가 아닌 기원 전후부터 562년까지 낙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번성한 여러 나라를 총칭한다. 경남 김해 유역의 금관가야와 경북 고령 지역의 대가야 등이 대표적이다. 세계유산 등재를 앞둔 가야고분군은 영‧호남 지역에 존재했던 고분군 7곳을 묶은 유산이다. 여기에는 ▲고령 지산동 고분군 ..

우리 문화유산 속 수학의 재발견 한글은 자음과 모음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엄청난 ‘경우의 수’를 만들어내는 수학적인 문자이며, 한글이 만들어진 시대에는 동아시아 정신문화의 결정체인 귀중한 수학책의 간행도 이루어졌다. 신라 첨성대는 천문과 절기, 건축 구조 등에서 다양한 수학적 비밀이 숨겨져 있다. 그 중 압권은 석불사(석굴암)이다. 시대를 초월한 우리의 여러 문화재 속에 담긴 수학적 원리와 그 미적 가치에 대해 살펴본다. 하늘의 뜻을 세종이 대신한 ‘훈민정음’ 한글은 만든 사람과 만든 시기, 만든 원리가 기록으로 전해오는 세계 유일의 문자이다. 문자로써 한 소리로만 읽히며, 한 소리는 하나의 한글 문자로만 표기되므로 실용적이고 합리적이며 쓰기에도 편하다. 세종대왕은 훈민정음(국보 제70호)을 만드는데 수학..

알쏭달쏭 재미있는 '문화유산 퀴즈' 우리나라에는 자랑스럽고 아름다운 문화유산들이 아주 많답니다. 아래 퀴즈를 풀면서 몰랐던 문화유산은 물론, 뿌리 깊은 우리의 역사 이야기까지 알아봐요. Q. 셋 중 가장 오래된 문화유산은 무엇일까? 1. 청자 삼각운학문 매병 2. 석굴암 3. 첨성대 다음 중 가장 오래된 문화유산은 무엇일까요? 정답은 3번 첨성대입니다. 청자 삼각운학문 매병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졌고, 석굴암은 통일신라시대, 첨성대는 삼국시대(신라 선덕여왕 재위 당시)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답니다. 특히 첨성대는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고 해요. 첨성대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해있는 삼국시대 신라 시기의 천문관측시설로 국보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Q.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