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우주 (13)
creamkj

생명체 거주 가능 외계행성 찾기, 금성이 알려준다 ‘지상낙원’이 변화무쌍한 ‘불지옥’으로 밝혀지기까지…금성 탐사의 과거‧현재‧미래 60여 년 전에만 해도 인류는 금성이 지구의 열대 기후를 가진 행성일 것이라고 상상했다. 금성은 크기와 질량이 지구와 비슷하고, 태양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도 유사해서 지구의 ‘쌍둥이 행성’으로 불린다. 게다가, 지구와 같은 암석형 행성이다. 생명체가 존재할 것이라고 믿을 수밖에 없는 이유였다. 그러던 1962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마리너2’ 탐사선이 금성을 근접 통과하는 과정에서 금성 대기가 뜨거울 수 있다는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후 구소련(러시아)의 베네라 탐사선 등 잇따른 탐사를 거듭한 끝에 금성이 지구와는 완전히 다른 ‘불지옥’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금성의 ..

야광등처럼 빛나는 고리…제임스웹이 본 토성 근적외선카메라로 첫 촬영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이 근적외선으로 야광등처럼 밝게 빛나는 고리에 둘러싸인 토성을 포착했다. 근적외선카메라로 토성을 촬영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미 항공우주국(나사)의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가 30일(현지시각) 공개한 사진을 보면 밝게 빛나는 고리에 비해 적외선으로 본 토성 자체는 매우 어둡게 보인다. 이는 메탄가스가 토성 대기에 쏟아지는 햇빛을 거의 모두 흡수하기 때문이라고 나사는 밝혔다. 지난 25일 진행한 이번 촬영은 토성 자체보다 이제까지 관측하기 어려웠던 희미한 위성들과 고리를 집중 관측하기 위한 것이다. 천문학자들의 기대에 부응하듯 사진에는 디오네, 엔셀라두스, 테티스 3개 위성이 선명하게 드러나 있다. 과학자들은 지름 5..

우주 탐구! '천문학 연구원'이 궁금해 광활한 우주를 탐구하는 '천문학 연구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Q. ‘천문학 연구원’이란? 먼저, 천문학은 우주와 우주 안에 있는 모든 것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따라서 천문학 연구원은 천체와 우주를 탐구하는 자연과학 연구원을 말합니다. 이들은 지구를 포함한 우주 전체와 행성, 위성, 소행성, 혜성, 별, 은하, 태양 등을 관측해 우주 생성과 진화의 원리, 성질 등을 연구, 분석합니다. Q. ‘천문학 연구원’은 어떤 일을 하나요? 첫째, 광학 망원경, 전파 망원경과 같은 정교한 관측 기기로 태양, 달, 행성, 별 등 우주를 구성하는 천체를 관측합니다. 둘째, 광학 망원경, 전파 망원경 등 천문학 기기를 개발하는 일, 한국 우주전파 관측망 등의 시스..

누리호 발사 성공에 가장 기뻐할 사람은 누구일까? 누리호는 우리 기술로 만든 한국형발사체로, 많은 이들의 노력과 보완을 거쳐 우주의 목표 궤도에 투입되었고 교신도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어요. 누리호 발사 성공이 그렇게 중요할까? 누리호 발사 성공은 아주 큰 의미를 가집니다. 누리호를 우주에 보냄으로써 우리나라가 독자적인 우주 운송 능력을 가졌다는 것이 증명되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미국, 러시아, 유럽연합, 인도, 일본, 중국에 이어 1톤 이상의 실용위성을 쏘아 올릴 수 있는 7번째 나라가 되었지요. 이제 대한민국도 우주 강국인 것이지요. 많은 국민에게 감동을 안겨준 누리호. 발사 성공 소식에 기뻐할 한 사람이 있습니다. 어쩌면 무덤에서 벌떡 일어나실지도 몰라요(!) 시대를 앞서간 '우주 덕후' 시간을 ..

유아, 초등 저학년 어린이를 위한 '우주' 책 추천 - 6~7세 추천 도서 - 『별들이 다 어디 갔지?』 수즈 휴즈 글·그림 / 이영란 옮김 / 세용출판 펴냄 밤마다 별을 닦으며 사는 어린 외계인은 하루도 쉬지 않고 별을 닦기 때문에 친구도 없고 신나게 놀아 본 적도 없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밤하늘의 별들이 사라지고, 지구에서만 파는 마법의 별 광택제를 구하기 위해 지구로 가게 됩니다. 지구에서 만난 조지와 신나게 놀면서 새로운 기분을 느끼고 행복해지자 그 순간 별들이 돌아와요. 어린 외계인이 지구에서 아이들과 신나게 노는 모습을 통해 아이들에게 정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게 하는 그림책으로, 귀여운 외계인의 모습과 밤하늘의 빛나는 별들이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합니다. 『우리는 이 행성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