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자원봉사론 (3)
creamkj

실습 슈퍼비전의 구성 체계 실습 슈퍼비전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슈퍼비전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정확히 이해할 뿐 아니라 슈퍼비전의 원칙을 세우고 그 원칙에 준하여 제공해야 한다. 실습 슈퍼비전의 구성은 실습생, 실습담당교수와 대학, 클라이언트, 실습지도자, 조직 등으로 구성되어 서로 유기적으로 기능해야 한다.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는 실습 슈퍼비전의 구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1) 실습생실습생은 슈퍼비전을 받는 사람으로서 현장실습교육을 진행함에 있어 교육 및 지도받아야 할 내용을 제공한다. 실습생은 슈퍼비전을 통해 더욱 발전된 서비스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할 책임이 있으며, 이를 위해 슈퍼비전을 성실히 받아야 할 의무도 있다. 또한 슈퍼비전을 위해 진실한 보고 자료를 제공해야 하며, 소..

내 이웃을 내 가족처럼, 자원봉사의 시작 현대적 의미의 자원봉사 활동은 기독교 사상을 바탕으로 1903년 설립된 대한 YMCA 연맹과 1922년 대한 YWCA 연합회, 그리고 인도주의 사상에 입각한 대한적십자사 등 각종 사회단체의 설립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광복 이후 자원봉사 활동은 대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문맹퇴치운동을 위한 야학, 농촌 일손 돕기, 질병교육 등의 활동을 전개했다. 1960년대에 인도주의와 자원봉사를 기본정신으로 하는 적십자운동이 활성화되었다. 1978년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사회봉사안내소를 개설하여 자원봉사 활동원의 모집과 교육을 통한 양성과 배치, 사후지도 등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각종 사회단체를 중심으로 자원봉사자 개발과 활용이 가속화되었다. 1980년대에 많은 사람들이 사회 전반적..

‘자원봉사 문화’ 한국과 일본 무엇이 다른가? 한국은 관 주도, 일본은 자생적 일본의 경우는 우리보다 더 현실적인 이유에서 자원봉사가 생겨났다. 각종 자연재해와 패전을 겪은 일본은 일찍부터 ‘자생적으로’ 자원봉사 개념이 생겨났다고 할 수 있다. 재해, 사고 후 어수선한 사회를 수습하고자 주민들이 스스로 단체를 만들고 운영한 것이 자원봉사의 초기 모습이었다. 1995년 일어난 고베대지진 후 무너진 사회 기반시설을 다시 세웠던 것도 자발적으로 나선 시민들의 힘 덕분이었다. 이를 계기로 일본은 자원봉사의 중요성을 깨닫게 됐고 국가가 직접 나서 자원봉사를 활성화하고 지원하는 방안을 만들기 시작했다. 특히 전쟁은 일본을 ‘자원봉사 국가’로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일본의 자원봉사 역사에 큰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