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장애인복지론 (2)
creamkj

가족지원 프로그램 던스트는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개인 및 가족 기능을 강화하고, 개인 및 가족 전체의 성장과 발달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가족지원을 촉진하기 위해 고안된 노력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그는 가족지원 프로그램은 가족의 능력을 강화하는 결과를 가져오며, 가족과 그 구성원들이 보다 유능해질 수 있는 방법으로 개입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가족들은 각기 가족 특성, 상호작용 형태, 기능, 현재 처해 있는 생애주기에 따라 개별적인 차이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가족 사정과 평가를 통해 가족의 다양한 생태학적 환경이나 개별성을 파악하여 자연스러운 생태학적 환경 내에서 다양하고 적절한 지원을 이들에게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개별 가족의 다양한 욕구에 의해서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내용이 달라져야 한다는 것은 ..

보편화 이론의 원칙 현대 장애인복지는 보편화 원리를 철저하게 강조하고 있다. 그런데 장애인의 보편화는 단순히 일반학교에 특수학급을 두고 장애학생을 통합교육하거나 때에 따라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해 일회성 행사를 하는 것으로 국한되던 데서 벗어나 지역사회에서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한 삶의 기회를 철저하게 보장받는 데에까지 이르고 있다. 즉, 보편화 이념의 목표는 장애인의 권리와 평등을 보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보편화 이념은 몇 가지 원칙으로 설명될 수 있다. (1) 원칙1보편화는 하루, 일주일, 그리고 1년을 사는 데 있어 생활의 일상적인 리듬을 갖고 활동하며 상호책임을 나누는 것을 의미한다. 장애인들도 다른 사람과 마찬가지로 일상적인 리듬에 따라 살 수 있는 집과 활동할 수 있는 일터가 필요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