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NASA (7)
creamkj

"더 가까이"…탐사선 '파커', 태양 최근접 기록 도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태양 탐사선이 크리스마스 이브인 24일(현지시간) 태양의 코로나를 '터치'했다. 코로나는 플라즈마 상태인 태양의 최상층부 대기의 일부다. NASA는 24일 태양 탐사선 '파커'가 현재 태양의 코로나를 통과하면서 최근접 관측 기록 경신을 시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계획에 따르면 파커 탐사선은 미국 동부시간 24일 오전 6시 53분(한국시간 오후 8시 53분)에 태양 표면 기준 610만㎞ 고도로 코로나 상층부를 통과했다. 속도는 시속 69만㎞ 안팎으로 예상된다. 아직 파커 탐사선이 성공적으로 코로나를 통과했는지 알 수 없다. 현재 태양 근처에 있어 통신 두절 상태이기 때문이다. 성공 여부는 미국 동부시간으로 27일경 파커 ..

"생명체 살 수 있나"…목성으로 향한 탐사선 목성의 위성 '유로파'에 생명체가 살 수 있는지 조사할 미 항공우주국(NASA)의 무인 탐사선 '유로파 클리퍼'(Europa Clipper)가 지구를 떠났다. 유로파 클리퍼는 14일 낮 12시 6분(미 동부시간, 한국시간 15일 오전 1시 6분) 플로리다주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 헤비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발사 이후 약 3분 만에 우주선을 밀어 올린 로켓의 측면 부스터 2개가 분리됐고, 우주선을 탑재한 로켓의 2단부가 아래 1단부에서 성공적으로 분리됐다. 이어 발사 약 1시간 뒤에 로켓 2단부가 두 차례 엔진 연소를 통해 지구 중력을 벗어나 태양 궤도에 진입했다. 유로파 클리퍼 우주선은 계획한 대로 로켓 2단과 분리돼 자체 비행을 시작했..

보이저 1호, 너 잘 지내고 있구나? 보이저 1호, 심우주에서 또 한 번 판독 가능한 데이터를 전송하다 창백한 푸른 점 “That’s here. That’s home. That’s us. On it, everyone you love, everyone you know, everyone you ever heard of, every human being who ever was, lived out their lives. The aggregate of our joy and suffering, thousands of confident religions, ideologies, and economic doctrines, every hunter and forager, every hero and coward, every..

우주항공청 드디어 출범…'한국판 스페이스X' 우주항공청 개청으로 민간우주 전환 기대감대형국가연구개발사업 재검토 필요성 의견 제기범부처 지휘체계 기반으로 우주산업 활성화 요구기존 우주사업 경험 있는 기업 위한 정부 지원도 필요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차세대 발사체나 무인탐사선이나 현 시점에서는 발사 성공도 중요하지만 경제성을 함께 검토해야 한다. 우주경제 시대에 걸맞게 기존 대형국가연구개발 사업을 재검토해야 한다.”‘한국판 미항공우주국(NASA)’을 표방하는 우주항공청이 지난 27일 경남 사천에서 문을 연 가운데 우주항공인들은 큰 기대를 거는 한편 우주산업화에 대해 이같은 조언을 내놓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산로켓 누리호와 다누리 성공으로 7대 우주강국이 됐지만, 6위권 내 국가들과 비교하기에는 ..

태양계에 또 다른 생명체가 살고 있을까? 태양계에서 생명체 흔적을 찾다 광활한 우주에 우리만 존재할까? 한적한 시골 마을이나 빛 공해가 없는 장소에서 밤하늘을 바라보다 보면 금세라도 별이 쏟아질 것 같은 기분이 든다. 우리가 관측 가능한 우주에는 자그마치 600해(1경 * 10,000)개 이상의 별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는 전 세계 모든 해변과 사막에 있는 모래 알갱이의 수보다 최소 몇 배는 많은 숫자이다. 우주는 단언컨대 우리가 상상하는 크기와 비교도 안 될 만큼 크다. 과연, 이 광활하고 넓은 우주에 오직 지구에만 생명체가 살고 있을까? ‘코스모스’의 저자 칼 세이건(Carl E. Sagan) 역시 이 넓은 우주에서 지구에만 생명체가 존재한다면 엄청난 공간의 낭비일 것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우..

알고 보면 더 재미있는 ‘TMI 과학’ “하강 속도 초속 1m.” “5, 4, 3, 2, 1 랜딩!” 2029년. 대한민국의 유인 우주 달 탐사선 우리호가 미국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유인 우주선을 달에 착륙시켰다. 3명의 우주인이 함께 지구를 떠나왔지만 강력한 태양풍의 피해를 받아 달 표면에 발자국을 남긴 건 황선우 대원(도경수 분) 뿐. 달의 뒷면에서 얼음 시료를 채취한 기쁜 소식도 잠시. 거대한 유성우가 달을 향해 떨어진다. 2일 개봉한 영화 의 설정이다. 영화 더 문은 유인 달 탐사 중 달에 고립된 대원과 그의 무사 귀환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나로우주센터 과학자들의 모습을 담았다. 더 문은 시나리오 작성 단계부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등 과학자들의 자문을 통해 달과 우주를 스크린으로 옮..

생명체 거주 가능 외계행성 찾기, 금성이 알려준다 ‘지상낙원’이 변화무쌍한 ‘불지옥’으로 밝혀지기까지…금성 탐사의 과거‧현재‧미래 60여 년 전에만 해도 인류는 금성이 지구의 열대 기후를 가진 행성일 것이라고 상상했다. 금성은 크기와 질량이 지구와 비슷하고, 태양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도 유사해서 지구의 ‘쌍둥이 행성’으로 불린다. 게다가, 지구와 같은 암석형 행성이다. 생명체가 존재할 것이라고 믿을 수밖에 없는 이유였다. 그러던 1962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마리너2’ 탐사선이 금성을 근접 통과하는 과정에서 금성 대기가 뜨거울 수 있다는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후 구소련(러시아)의 베네라 탐사선 등 잇따른 탐사를 거듭한 끝에 금성이 지구와는 완전히 다른 ‘불지옥’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금성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