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문해력 (19)
creamkj

2025년부터 고교 학점제가 전면 실시되고 ‘2022 교육과정’에 따라 2028 수능 및 입시가 변화될 것이라는 것은 이미 언론을 통해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무엇보다 학생 개별 교육과정이 도입돼 학부모와 학생이 교육과정을 이해해야 하고, 고교 공통과목 외에 절대평가를 도입하여 참여형 수업과 논술·서술형 평가가 강화될 것이라는 점에 큰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2028 입시를 준비해야 하는 초·중등 학생과 학부모는 구체적으로 무엇을 준비하고 고민해야 할까요? 특히 미리 대비하지 않으면 길을 찾기 어렵다는 고등학교 국어 수업과 시험의 실제는 어떤 모습일까요? “고등학교 국어, 어떻게 다르길래?” 입시와 교육에 관심을 가진 학부모라면 중학교에서 최상위권 성적을 거두던 학생이 고등학교 입학 후 국어가 4..

과목별 교과서 '제대로' 읽는 법 학교에서 아이들을 지도하다 보면 깜짝 놀랄 때가 많습니다. 교과서를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모를 뿐만 아니라 제목과 부제를 구분하지 못하며, 문제를 이해하지 못하는 아이도 많습니다. ‘고도’, ‘양분’, ‘분해’ 등 꼭 알아야 하는 단어의 뜻을 알지 못해 교과서 내용을 이해하지 못할 때도 있고요. 아이들은 모르는 단어를 마주할 때마다 멀뚱멀뚱한 눈으로 선생님을 쳐다보거나 모른다는 사실을 외면하기도 합니다. 학생들이 공부할 때 어려움을 겪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공부 방법을 모른다는 것입니다. ‘공부해’라고 지시하기 전에 공부하는 법을 알려주는 게 우선입니다. 어떻게 교과서를 읽어야 하는지, 어떻게 문제를 읽어야 하는지를 가르쳐줘야 합니다. 궁극적으로는 교과서를 바르게 읽으..

공부를 잘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독서: 독서력이 공부력이 되는 세 가지 비법 “우리 아이 초등학교 때까지는 그래도 책도 많이 읽고, 공부도 꽤 잘했는데 중학교에 올라가니 성적이 안 나오네요!”라고 말씀하시는 부모님이 종종 있습니다. 그런데 고등학교에 가면 더 큰 격차를 느끼곤 하죠. 그 이유가 무엇이라 생각하시나요? 생각보다 답은 가까이에 있어요. 공부란 무엇인지 그 개념을 생각해보면 알 수 있기 때문이죠. 우리가 생각하는 ‘공부’는 글을 읽고 이해하는 것을 기본으로 합니다.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능력을 ‘문해력’이라 부르죠. 그러면 문해력은 어떻게 형성되나요? 바로 ‘독서’가 문해력의 ‘씨앗’입니다. 이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독서는 문해력이다. 문해력은 공부다. 고로, 독서는 공부다.” ..